제목 | 딥시크 관련주와 수혜주 앞으로 글로벌 AI 패권의 핵심 |
---|---|
작성자 | Madeline |
작성일 | 25-04-09 05:44 |
회사명 | |
이메일 | aaa@naver.com |
연락처 |
본문
중국발 딥시크 AI 공습? 딥시크 vs 엔비디아 주가 관련주중국발 AI 공습이 시작되는 것인가 할 정도로 어젯밤 엔비디아가 폭락했했다.하루기준 17% 에 가까운 폭락이 진행되었고, 엔비디아를 포함하는 지수를 추종하는 다양한 ETF 들도 폭락이 이어졌다. QQQ, QLD, TQQQ, SOXL 등이 그것이다.그중에서 SOXL 은 특히 큰 충격을 받았다. 무려 23% 가 빠진 것이다. 3배 레버리지인 셈을 고려하면 엔비디아의 폭락의 영향을 그대로 받았다고 볼 수는 없지만, 그래도 하루 하락으로는 매우 큰 수치가 아닐 수 없다.엔비디아를 비롯한 딥시크 미국 반도체 시장에 충격이 가해진건, 중국의 AI 서비스인 딥시크가 보여준 성능 때문이다.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의 성능은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얼마나 많은 파라미터로 학습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문제는 파라미터 숫자를 늘리면 학습 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이는 서비스 개발 속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는 것이다.그래서 트럼프 정부와 OpenAI 등 미국의 AI 산업 이해관계자들이 모여 스타게이트라는 어마어마한 비용이 들어가는 인프라 구축 작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예상 비용은 1,000억달러 수준이다. 우리나라 돈으로는 143조원 정도이다. 비용 자체가 어마어마하다보니, 딥시크 과연 이정도의 인프라 구축비용을 들여 만드는 인공지능 플랫폼이 얼마나 대단할까? 하는 궁금증도 커지는 상황이었다. 반면, 그정도를 들여야 할 만한 일인가? 하는 의문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이 상황에서 다른 나라도 아닌 바로 중국이 딥시크 서비스를 내 놓은 것이다. 문제는 미국이 대중국 AI 반도체 수출을 금지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인공지능 학습을 위해서는 고성능의 GPU 가 필요한데, 현재 구상에서 이를 만드는 회사는 엔비디아가 거의 유일하다. 엔비디아의 수출이 막힌 이상 중국의 AI 서비스 개발은 미국을 딥시크 따라오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리고 바로 지난주까지는 그게 사실이었고.딥시크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엔비디아의 반도체인 A100 GPU 를 이용해서 현재의 성능을 이루었다고 한다. 엔비디아 입장에서는 환장할 노릇이다. 그동안 고성능의 GPU 가 AI 에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있었고, 그래서 계속해서 고성능의 반도체를 만들고 팔아먹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실제 최고성능 GPU 인 H100 을 많이 보유하는 것이 인공지능 시장에서 앞서나갈 수 있다는 인식이 팽배했고, 세계 유수의 IT 기업들은 앞다투어 H100 을 구매하기 시작했다. 딥시크 2024년 10월 기준 세계의 기업들이 보유한 H100 숫자를 보여주는 표이다. 딥시크는 H100 대신 A100을 이용해 훈련하여 모델을 만들었다고 한다. 실제 사용해보면 꽤나 괜찮은 성능을 나타낸다. 코딩 측면에서 약간 아쉬운 부분, 그리고 우리나라에 국한된 정보를 찾는데 약간 어려워하는 모습을 보이긴 하지만, 낮은 사용가격이라면 이 정도는 허용할 수 있는 수준이다.딥시크가 돌풍을 일으키는 이유는, 그동안 무시했던 중국의 AI 서비스의 품질이 생각보다 훨씬 괜찮다는 것, 그리고 이걸 아주 저렴한 가격에 만들어냈다는 것이다.자연스럽게,그럼 이제 딥시크 고성능의 AI 반도체는 필요없는거 아닌가?같은 생각이 들게 마련이고, 이런 생각이 결국 어제의 엔비디아 폭락을 촉발했다고 볼 수 있다. 그동안 엔비디아가 만들어온 H100 이 과스펙이고, 돈을 덜 쓰면서 동일한 서비스를 할 수 있다면 누가 과연 엔비디아의 최신 제품을 할 것인가?그러나, 여기서 중요하게 봐야 할 지점이 있다.과연 딥시크가 그들의 발표대로 정말 저렴한 GPU 만으로 훈련을 완료했을까? 생성형 인공지능을 만들기 위한 엄청난 효율의 알고리즘을 발견하여 내부적로만 사용하는 게 아닌 이상 그동안 메타나 딥시크 구글이 그런 방법을 발견하지 못했을 리 없다. 낮은 성능의 GPU 로만 훈련했다는 것을 곧이곧대로 믿을 건 아니라는 것이다.사람이 먹는 계란도 정성스럽게 구라로 만드는 나라에서 과연 IT 서비스에 대한 말을 100% 신뢰할 수 있을까?정확한 양상은 다음 모델이 얼마나 빨리 개선되느냐에 따라 달렸다고 본다. ChatGPT 가 모델의 개선해 오는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딥시크의 모델이 개선된다면 엔비디아의 필요성이 줄어드는 것도 사실이겠지만, 과연???일각에서는 딥시크 관련주를 찾는 노력도 하고 있다. 기술의 발전과는 별개로 투자는 딥시크 투자니까 좋은 노력이다.사실 딥시크의 가장 큰 수혜주는 엔비디아일 수 밖에 없다. 딥시크가 아무리 저렴한 AI 를 사용하더라도 어쩃든 엔비디아의 반도체를 사용할 수 밖에 없기 떄문이다.여기에 인공지능 서비스를 호스팅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들이 관련주로 주목받을 수 있다. 가격이 저렴해진 만큼 AI 를 활용한 서비스가 늘어날 것이고, 이를 호스팅하는 클라우드 기업인 구글, 마소 등이 수혜를 받을 수도 있다.덧.아무래도 중국 AI 라 그런지, 민감한 문제에 대해서는 말을 돌린다. 역사적인 내용을 확인해야 할 딥시크 때는 유의해야 한다.끝.